꺼내먹는지식 준
백준 1931 회의실 배정 본문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31
문제
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.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,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. 단,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.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.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.
입력
첫째 줄에 회의의 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+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.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-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.
출력
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.
예제 입력 1 복사
11
1 4
3 5
0 6
5 7
3 8
5 9
6 10
8 11
8 12
2 13
12 14
예제 출력 1 복사
4
풀이방법:
아하 .. 멍청했다.
이 문제에서 sorting 하는 부분을 끝까지 고집피워서
key = lambda a: (a[1])
즉 , end 기준으로만 sorting 하면 문제 없는거 아냐? 라는 생각을 했다.
이 이유는 처음에 문제를 읽을 때, 시작 시간 종료 시간이 같은 경우 회의 시작이 안된다고 착각했기 때문이다.
이 경우 반례는
2 6
2 6
6 6
2,6 후, 6,6 회의 진행 가능! (아니, 1초 회의 뭐냐고)
6 6
2 6
2 6 (이 경우 6,6은 가능하나 2,6이 불가능해진다.)
문제 제대로 안 읽고 내 상식에 의존한 결과 계속 틀렸다.
key = lambda a:(a[1], a[0]) 로 정렬
혹은
입력을 받을 때 순서를
a ,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lst.append([b,a]) 거꾸로 넣어주게 되면 sort 시 key 걱정 없이 진행해도 된다.
(sort는 앞 순서, 뒷 순서로 진행되기 때문)
오늘의 교훈: 내 상식믿고 고집피우지 말자.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n = int(input())
lst = []
for i in range(n):
lst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
lst.sort(key = lambda a: (a[1], a[0]))
end = 0
cnt = 0
for s,e in lst:
if s >= end:
cnt+= 1
end = e
print(cnt)
'코딩테스트총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스 stack 짝지어 제거하기 (0) | 2022.05.07 |
---|---|
HEAP (0) | 2022.05.05 |
프로그래머스 LV2 문자열 압축 (0) | 2022.04.23 |
프로그래머스 LV 1 정리 (0) | 2022.04.23 |
백준 14567 선수과목 (0) | 2022.02.17 |